[SLAM] Graph-based SLAM with Landmark
본 글은 University Freiburg의 Robot Mapping 강의를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graph-based SLAM 포스트에서는 landmark가 없는 환경에서 로봇의 위치 간의 관계 만을 이용하여 graph를 최적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landmark가 있는 환경에서 이 landmark들을 이용하여 로봇 간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을 때 graph-based SLAM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할 것이다.
Graph-based SLAM with Landmark
아래 그림은 Global 좌표계에서 로봇의 위치와 landmark의 위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Landmark가 존재하는 실제 환경은 아래와 같다. 아래 그림과 같은 공원의 경우 공원에 있는 나무들이 landmark가 되고 나무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SLAM을 적용한다.
로봇의 위치와 landmark와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graph에서 node는 로봇의 위치뿐만 아니라 landmark의 위치도 포함하게 된다. 이때 landmark는 방향없이 x,y좌표로만 구성된다.
- Node
- 로봇의 위치
- landmark의 위치
- Edge
- 로봇의 Odometry measurement
- 로봇의 Landmark observation
위의 정보들로 구성된 graph의 error를 최소화 하는 landmark와 로봇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로봇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Landmark가 없는 환경에서 “virtual measurement”라는 것을 언급했었다. “virtual measurement”는 non-successive한 로봇의 위치에서 얻어진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두 로봇간의 상대 위치(relative pose)를 의미한다. 이렇게 계산된 “virtual measurement”는 non-successive한 노드 사이의 constraint가 된다. Landmark가 있는 환경에서는 위 그림과 같이 non-succesive한 로봇간의 direct한 edge는 발생하지 않으며, landmark를 통해서만 연결된다.
Rank of Information Matrix
Landmark를 통한 graph SLAM의 경우 센서 특성에 따른 information matrix의 rank를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서는 bearing only observation 센서모델로 로봇의 위치에서 landmark까지의 각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의 경우를 생각한다.
Bearing observation의 경우 observation function은 다음과 같다.
이 observation function을 이용한 error term은 다음과 같다.
위 error term으로 구성되는 information matrix의 rank는 어떻게 될까? \[\mathbf{H}_{ij} = \mathbf{J}_{ij}^T \mathbf{\Omega}_{ij} \mathbf{J}_{ij}\]
위 식에서 $\mathbf{J}{ij}$는 error term을 편미분한 행렬인데, bearing only 센서의 경우 error term의 dimension은 1이므로 Jacobian의 rank는 1이다. 따라서 $\mathbf{H}{ij}$의 rank도 1이 된다.
rank가 1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rank가 1이라는 것은 위 그림과 같이 어떠한 landmark가 있을 때 로봇은 x-y plane에 어디든 존재할 수 있으며 단지 그 x-y좌표에 해당하는 heading 각도만 한정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bearing only sensor의 경우 로봇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observation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under-determined”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Information matrix의 rank는 로봇의 위치 중(x,y,heading) 몇가지의 정보를 한정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며, 로봇의 위치에 대한 unique solusion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full lank가 되어야 한다.
Under-determined System
이러한 under-determined system, 즉 information matrix의 rank가 full lank가 아닌 경우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Levenberge Marquardt” method 이다. 즉 “damping factor”를 더함으로써 full rank의 matrix를 만들어 unique한 해를 찾는다. 원래의 식은 아래와 같다. \[\mathbf{H} \triangle \mathbf{x} = -\mathbf{b}\]
damping factor가 추가된 식은 아래와 같다. \[(\mathbf{H} + \lambda \mathbf{I})\triangle \mathbf{x} = -\mathbf{b}\]
damping factor는 error의 증감에 따라 크기를 변화시킨다.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정리
이 글에서는 Landmark가 있는 환경에서의 Graph-based SLAM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Landmark가 없는 환경에서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non-successive node간의 edge정보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edge는 node간의 직접적인 연결이다. 반면, landmark가 있는 환경에서는 각 node에서 바라보는 landmark의 위치가 observation 정보가 되며, non-successive한 node간의 연결은 landmark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의 종류에 따라 information matrix의 rank가 결정되고 under-determined system이 되므로 이를 풀기위한 기법이 필요하게 된다(LM method).
본 글을 참조하실 때에는 출처 명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