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AM] Sparse Extended Information Filter(SEIF) SLAM 계산

Filter의 연산량 개선을 위한 Sparse Extended Information Filter(SEIF)를 이용한 SLAM의 계산과정을 설명한다.


본 글은 University Freiburg의 Robot Mapping 강의를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설명한 Sparse Extended Information Filter(SEIF) SLAM의 과정을 차근차근 한단계씩 이해해 보려고 한다. SEIF에 대해서 설명한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SEIF는 적은 갯수의 큰 값을 갖는 information matrix의 sparsification과정을 통해 filter의 일정한 계산속도(constant computation time)를 보장하는 방법이다. SEIF의 과정은 전체적으로 개념은 EIF와 유사하나, 각 단계마다 계산량을 줄이기위한, 즉 일정한 계산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테크닉이 들어있다. 이는 large scale의 환경에서 SLAM을 구현하기 위한 꼭 필요한 테크닉이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SEIF는 크게 4개의 과정으로 나뉘어 진다. \[\begin{aligned} & \text{SEIF SLAM}(\xi_{t-1}, \Omega_{t-1}, \mu_{t-1}, u_t, z_t)\\ 1: \ \ & \bar{\xi}_t, \bar{\Omega}_t, \bar{\mu}_t = \text{SEIF motion update}(\xi_{t-1}, \Omega_{t-1},\mu_{t-1}, u_t)\\ 2: \ \ & \xi_t, \Omega_t = \text{SEIF measurement update}(\bar{\xi}_t, \bar{\Omega}_t, \bar{\mu}_t, z_t)\\ 3: \ \ & \mu_t = \text{SEIF updated state estimate}(\xi_t, \Omega_t, \bar{\mu}_t)\\ 4: \ \ & \tilde{\xi}_t, \tilde{\Omega}_t = \text{SEIF sparsification}(\xi_t, \Omega_t, \mu_t)\\ 5: \ \ & \text{return} \ \ \tilde{\xi}_t, \tilde{\Omega}_t, \mu_t \end{aligned}\]

앞으로 각 단계를 하나씩 유도해 볼 것이며, 각 단계에서 constant한 computation time을 위해 어떤 테크닉을 사용하였는지 설명하도록 하겠다.

SEIF Motion Update

Matrix Inversion Lemma

sparse한 matrix의 inverse를 빠르게 계산하기 위해서 matrix inversion lemma를 이용한다. 이 lemma는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니 기억해 두면 좋다. \[(R+PQP^T)^{-1} = R^{-1} - R^{-1}P(Q^{-1}+P^T R^{-1}P)^{-1}P^TR^{-1}\]

위 식에서 R은 크기가 큰 matrix, Q는 크기가 작은 matrix이며 P가 low dimension matrix를 high dimension으로 변형하는 직사각 행렬이다. 이때 만약 큰 matrix인 R의 inverse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으면 전체 matrix의 inverse도 쉽게 구할 수 있다.

Motion Update step(prediction step)

우선 EKF SLAM에서 prediction 단계를 다시 보도록 하자. velocity-based model의 경우 위와같이 정의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하여 vector와 matrix를 $\delta, \triangle$로 표현한다.

Prediction step에서의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하기 위해 EKF의 5번 식에서 부터 계산을 시작한다. \[\begin{aligned} \bar{\Omega}_t &= \bar{\Sigma}_t^{-1}\\ &= [G_t\Omega_{t-1}^{-1}G_t^T + R_t]^{-1}\\ &= [\Phi_t^{-1} + R_t]^{-1} \end{aligned}\]

우리가 최종적으로 계산하고자 하는 information matrix는 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rediction step에서 가장 큰 계산량을 차지하는 부분은 $\Omega_{t-1}^{-1}$을 계산하여 $\bar{\Omega}_t$를 계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Phi_t$는 다음같이 정의된다. \[\begin{aligned} \Phi_t &= [G_t \Omega_{t-1}^{-1} G_t^T]^{-1}\\ &= [G_t^T]^{-1} \Omega_{t-1} G_t^{-1} \end{aligned}\]

이제 위에서 설명한 matrix inversion lemma를 이용하여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bar{\Omega}_t &= [\Phi_t^{-1} + R_t]^{-1}\\ &= [\Phi_t^{-1} + F_x^TR_t^x F_x]^{-1}\\ &= \Phi_t - \Phi_t F_x^T({R_t^{x}}^{-1}+F_x \Phi_t F_x^T)^{-1} F_x \Phi_t\\ &= \Phi_t - \kappa_t \end{aligned}\]

이제 우리가 prediction step에서 구하고자 하는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하는 식을 자세히 들여다 보도록 하자. $F_x$는 $3\times3$ block을 제외하고는 전부 0인 matrix이다. 그리고 inverse 계산을 해야하는 ${R_t^{x}}^{-1}+F_x \Phi_t F_x^T$는 $3\times3$ matrix이므로 연산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만약

$\Phi_t$의 computation time이 constant하다면 전체 process의 computation time도 constant해 진다.

그러면 이제 $\Phi_t$의 계산과정을 들여다 보도록 하자. \[\begin{aligned} \Phi_t &= [G_t \Omega_{t-1}^{-1} G_t^T]^{-1}\\ &= [G_t^T]^{-1} \Omega_{t-1} G_t^{-1} \end{aligned}\]

$\Phi_t$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계산량이 많은 부분은 $G_t^{-1}$을 계산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begin{aligned} G_t^{-1} &= (I+F_x^T \triangle F_x)^{-1}\\ &= \begin{pmatrix} \triangle + I_3 & 0 \\ 0 & I_{2N} \end{pmatrix}^{-1}\\ &= \begin{pmatrix} (\triangle + I_3)^{-1} & 0 \\ 0 & I_{2N} \end{pmatrix} \end{aligned}\]

즉 위 계산결과를 보면 $G_t^{-1}$의 계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triangle + I_3)^{-1}$이다. 이 부분은 전체 matrix의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3\times3$ matrix이기 때문에 $G_t^{-1}$의 계산속도는 일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식을 조금 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G_t^{-1} &= (I+F_x^T \triangle F_x)^{-1}\\ &= \begin{pmatrix} \triangle + I_3 & 0 \\ 0 & I_{2N} \end{pmatrix}^{-1}\\ &= \begin{pmatrix} (\triangle + I_3)^{-1} & 0 \\ 0 & I_{2N} \end{pmatrix}\\ &= I_{3+2N} + \begin{pmatrix} (\triangle + I_3)^{-1} - I_3 & 0 \\ 0 & 0 \end{pmatrix}\\ &= I+ F_x^T[(I+\triangle)^{-1} - I]F_x\\ &= I + \Psi_t \end{aligned}\]

위의 정의를 이용하여 $\Phi_t$를 정리해 보면 \[\begin{aligned} \Phi_t &= [G_t^T]^{-1} \Omega_{t-1} G_t^{-1}\\ &= (I+\Psi_t^T) \Omega_{t-1} (I+\Psi_t)\\ &= \Omega_{t-1} +\Psi_t^T \Omega_{t-1} +\Omega_{t-1}\Psi_t + \Psi_t^T \Omega_{t-1} \Psi_t\\ &= \Omega_{t-1} + \lambda_t \end{aligned}\]

여기서 $\lambda_t$는 일정개수의 요소들만 non-zero의 값을 갖는 matrix이다.

따라서 $G_t^{-1}$의 계산속도가 constant하고 information matrix가 sparse하므로 $\Phi_t$의 계산속도는 constant하며, $\Phi_t$의 계산속도가 constant하므로 최종적으로 prediction step의 information matrix 계산량도 constant하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일정한 계산속도를 유지하며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하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Psi_t$ 계산

2. $\Psi_t$를 이용하여 $\lambda_t$ 계산

3. $\lambda_t$를 이용하여 $\Phi_t$ 계산

4. $\Phi_t$를 이용하여 $\kappa_t$ 계산

5. 마지막으로 $\kappa_t$와 $\Phi_t$를 이용하여 $\bar{\Omega}_t$ 계산

위의 계산 방법을 통해 matrix크기에 상관없이 constant한 계산속도로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할 수 있다.

이제 information matrix를 구했으니 information vector를 구해야 한다. information vector는 아래의 유도과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Information vector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들의 대부분이 Information matrix를 구할 때 계산된 값들이며, inverse의 계산이 없기 때문에 계산량이 크지 않다.

따라서 SEIF의 prediction step에서 information matrix가 sparse 할 때, constant computation time으로 information vector와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SEIF Measurement update(correction step)

SEIF의 correction step은 EIF와 마찬가지로 계산량이 크지않다. SEIF의 measurement update과정은 다음과 같다.

SEIF의 measurement update과정은 EKF와 대부분 동일하다. SEIF에서 바뀐 부분은 information vector와 matrix를 계산하는 12, 13번 과정이다. 큰 matrix의 inverse와 같은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constant computation time을 보장한다($Q_t^{-1}$는 observation의 noise로 matrix의 크기가 작으며 미리 계산할 수 있는 matrix이다). 위의 계산과정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이전 글인 EKF SLAM을 참고하기 바란다.

SEIF Updated State Estimate

SEIF의 세번째 단계는 state의 평균값(mean, $\mu_{t}$)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계산된 평균값은 다음의 과정에서 사용된다.

이전 두 단계에서 information vector와 matrix를 계산하였기 때문에 mean값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mu = \Omega^{-1} \xi\]

하지만 이와 같이 단순한 정의에 의해서 계산하게 되면 한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Omega$는 매우 큰 matrix이므로 이 matrix의 inverse과정은 매우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따라서 mean값을 계산하기 위해 optimization 방법으로 접근한다. \[\begin{aligned} \hat{\mu} &= \text{argmax} \ \ p(\mu)\\ &= \text{argmax}_{\mu} \ \ exp(-\frac{1}{2} \mu^T\Omega\mu + \xi^T\mu) \end{aligned}\]

SEIF의 이전 두 단계에서 information matrix와 vector를 계산하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Gaussian 분포를 표현할 수 있다. 이 Gaussian의 분포에서 mean값은 함수의 최대값을 갖는 위치 이므로 위와 같이 optimization 방법으로 mean값을 계산하는데, 함수를 미분하여 미분값이 0이 되는 $\mu$를 구하면 된다.

Optimization 방법으로 mean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위치와 active landmark의 mean값만을 구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하고, constant computation을 보장할 수 있다.

SEIF Sparsification

마지막은 Information matrix의 sparsification 과정이다. sparsification은 matrix의 non-zero off-diagonal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즉 sparse matrix가 유지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 SEIF의 이전 step에서 constant computation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이 information matrix의 sparseness이었으므로 이 과정이 꼭 필요하다.

Sparsification은 SEIF 에서 언급했던것 처럼 로봇과 landmark간의 link을 제거함으로써(conditional independence하다고 가정함으로써) non-zero off-diagonal의 수를 유지하는 것이다.

landmark는 2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관측하거나 관측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landmark(즉, direct link가 있는)는 active landmark이며, direct link가 없는 landmark를 passive landmark라고 한다.

sparsification 과정을 위해서 landmark를 다시 3가지로 분류한다. $m^{+}$는 현재 active landmark이며

계속 active landmark이다. $m^0$는 현재는 active landmark이지만 passive landmark로 만들 대상이다. $m^-$는 현재도 passive landmark이며 계속 passive landmark이다. \[\begin{aligned} p(x_t,m \mid z^t, u^t) &= p(x_t, m^+, m^0, m^- \mid z^t, u^t)\\ &= p(x_t \mid m^+, m^0, m^-, z^t, u^t)p(m^+, m^0, m^- \mid z^t, u^t)\\ &= p(x_t \mid m^+, m^0, m^- = 0, z^t, u^t)p(m^+, m^0, m^- \mid z^t, u^t) \end{aligned}\]

위 식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우리가 만약에 $m^+$과 $m^0$에 대해서 알고있다면 $x_t$는 $m^-$에 independent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m^-$의 값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단순하게 0으로 설정하였다. 이제 위 식으로 부터 $m^0$를 제거함으로써 근사화 시킬 수 있다. passive landmark가 되는 $x^0$는 이제 로봇의 위치인 $x_t$와 independent하기 때문에 제거 가능하다. \[\begin{aligned} \tilde{p}(x_t,m \mid z^t, u^t) &= p(x_t \mid m^+, m^- = 0, z^t, u^t)p(m^0, m^+, m^- \mid z^t, u^t) \\ &= \frac{p(x_t, m^+ \mid m^- = 0, z^t, u^t)}{p(m^+ \mid m^- = 0, z^t, u^t)}p(m^0, m^+, m^- \mid z^t, u^t) \end{aligned}\]

$\tilde{}$는 sparsification을 통해 근사화를 했음을 의미한다. 이제 $\tilde{p}(x_t,m \mid z^t, u^t)$의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하는 과정이 sparsification 과정을 의미한다. \[\begin{aligned} \Omega_t &= \text{information matrix of } p(x_t, m^+, m^0, m^- \mid z^t, u^t) \\ \Omega_t' &= \text{information matrix of } p(x_t, m^+, m^0, \mid m^- = 0, z^t, u^t) \end{aligned}\]

맨 먼저 $\Omega_t’$를 계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bayes rule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p(x_t, m^+, m^0, \mid m^- = 0, z^t, u^t) = \frac{p(x_t, m^+, m^0, m^- \mid z^t, u^t)}{p(m^- = 0 \mid z^t, u^t)}\]

따라서 $\Omega_t’$는 $p(x_t, m^+, m^0, m^- \mid z^t, u^t)$의 information matrix에서 $m^-$에 해당하는 information 항을 0으로 만든 information matrix이다(information form을 이용한 Gaussian 분포 식을 생각하자). 이 matrix를 projection matrix $S$를 이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Omega_t' = S_{x,m^+,m^0}S_{x,m^+,m^0}^T \Omega_t S_{x,m^+,m^0} S_{x,m^+,m^0}^T\]

여기서 Projection marix는 남기고자 하는 부분이 identity로 구성된 matrix이다. 예를들어 로봇의 포즈와 첫번째 landmark만 남기고 모두 0으로 만드는 projection matrix는 다음과 같다. \[S_{x,m1} = \begin{bmatrix} I_3 & 0 & 0 & \cdots & 0\\0 & I_2 & 0 & \cdots & 0 \end{bmatrix}^T\]

따라서 $\Omega_t’$을 계산함으로써 $m^-$에 해당하는 row와 column은 0이 된다.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matlab을 이용해서 계산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제 $\Omega_t$와 $\Omega_t’$을 이용하여 \[\begin{aligned} \tilde{p}(x_t,m \mid z^t, u^t) &= \frac{p(x_t, m^+ \mid m^- = 0, z^t, u^t)}{p(m^+ \mid m^- = 0, z^t, u^t)}p(m^0, m^+, m^- \mid z^t, u^t) \end{aligned}\]

을 구성하는 각 항의 information matrix를 구해본다. \[\begin{aligned} \Omega_t^1 &= \text{information matrix of } p(x_t, m^+ \mid m^- = 0, z^t, u^t) \\ \Omega_t^2 &= \text{information matrix of } p(m^+ \mid m^- = 0, z^t, u^t) \\ \Omega_t^3 &= \text{information matrix of } p(m^0, m^+, m^- \mid z^t, u^t) \end{aligned}\]

각 information matrix는 information form의 marginalization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information form의 marginalization은 EIF 글에 정리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Omega_t^1 & = \Omega_t' - \Omega_t' S_{m^0}(S_{m^0}^T \Omega_t' S_{m^0})^{-1}S_{m^0}^T \Omega_t'\\ \Omega_t^2 & = \Omega_t' - \Omega_t' S_{x_t, m^0}(S_{x_t, m^0}^T \Omega_t' S_{x_t, m^0})^{-1}S_{x_t, m^0}^T \Omega_t'\\ \Omega_t^3 & = \Omega_t - \Omega_t S_{x_t}(S_{x_t}^T \Omega_t S_{x_t})^{-1}S_{x_t}^T \Omega_t\\ \end{aligned}\]

이제 계산된 information matrix를 이용하여 sparsification 된 information matrix를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ed} \tilde{\Omega}_t &= \Omega_t^1 - \Omega_t^2 + \Omega_t^3\\ &=\Omega_t - \Omega_t' S_{m^0}(S_{m^0}^T \Omega_t' S_{m^0})^{-1}S_{m^0}^T \Omega_t' \\ & \ \ + \Omega_t' S_{x_t, m^0}(S_{x_t, m^0}^T \Omega_t' S_{x_t, m^0})^{-1}S_{x_t, m^0}^T \Omega_t' \\ & \ \ - \Omega_t S_{x_t}(S_{x_t}^T \Omega_t S_{x_t})^{-1}S_{x_t}^T \Omega_t \end{aligned}\]

이제 sparsification을 통해 근사화된 information matrix가 계산되었다. 이제 information vector를 계산해야 되는데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ed} \tilde{\xi}_t &= \mu_t^T \tilde{\Omega}_t\\ &= \mu_t^T(\Omega_t - \Omega_t + \tilde{\Omega}_t)\\ &= \mu_t^T\Omega_t + \mu_t^T(\tilde{\Omega}_t - \Omega_t )\\ &= \xi_t + \mu_t^T(\tilde{\Omega}_t - \Omega_t ) \end{aligned}\]

SEIF SLAM Vs EKF SLAM

landmark의 갯수가 증가(matrix 크기 증가)함에 따른 계산시간의 변화를 보여준다. SEIF는 크게 변하지 않지만 EKF는 계산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landmark의 갯수 증가에 따른 메모리 크기변화를 보여준다. SEIF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EKF는 quadratic하게 증가한다.

landmark의 갯수 증가에 따른 error를 보여준다. 근사화를 하였기 때문에 SEIF가 EKF에 비해 error는 높다.

Active landmark의 갯수에 따른 update 시간을 비교하였다. Active landmark의 갯수가 적을수록 계산시간은 빨라진다.

Active landmark의 갯수에 따른 error의 변화를 보여준다. Active landmark의 갯수가 적을수록 error는 증가한다.

본 글을 참조하실 때에는 출처 명시 부탁드립니다.